뒤로가기

교재Q&A

  • [까만책 (수능기출) > 탐구영역 > 사회탐구영역(수능)]

    2019.08.15 | 쇄수 : 0 | 페이지 : 15 |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마더텅 해설책 p.15쪽 24번문제 해설 [보기풀이]에서 ㄱ번에 관한 해설중에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요! 도덕 현상에 대한 경험 과학적인 접근은 '객관적, 사실적 성격으로 사화과학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기술윤리학이라고 되어있는데 '사회과학이'왜 객관적 사실적 성격이에요?? 자연과학이 객관적 사실적이러고 할 수 있고 사화과학은 인간의 가치가 개입되지 않나요? 감사합니다
  • 답변마더텅

    • 2019.08.19

    안녕하세요. 김윤지 님.

    마더텅 <2020 수능대비 마더텅 수능기출문제집 생활과 윤리> 교재에 대해 질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사회과학은 인간과 인간의 관계인 사회현상에 대해서 자연과학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하고 분석하는 학문입니다.

     

    예를 들어, 사회과학의 연구 방법 중 하나인 실험법을 보면, 

    어떤 사회적 현상의 이유를 밝히기 위해, 모집단을 설정하고 모집단을 대표하는 표본 집단을 선정한 뒤,

    그 안에서 어떤 현상의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독립 변수를 처치한 실험 집단과 처치하지 않은 비교 집단을 나누어 실험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얻은 사회과학적 자료는 객관적이고 사실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사회과학도 자연과학과 마찬가지로 과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사회현상을 연구하고 분석하므로,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회과학이 주제 선정이나 목표 설정 과정에서 인간의 가치가 개입될 수는 있으나,

    연구, 분석 과정이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그 과정을 통해 얻은 자료는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성격을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자연과학 역시 주제를 선정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가치가 개입된다고 주장하는 입장도 있습니다.)

     

    저희 마더텅에 보내주신 관심에 감사 드립니다.

    앞으로도 큰 관심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