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Q&A
[까만책 (수능기출) > 탐구영역]
2025.04.22 | 쇄수 : 0 | 페이지 : 336 | 답변완료안녕하세요.
바로 전 재질문에서 설명해주시고자 하는 바는 잘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한 가지 의문점이 생겨 궁금함을 참지 못하고 질문드립니다.
"칸트는 동기에 따라 A는 도덕적 행위가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고 봅니다.
이를 간단히 기호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도덕적 행위 = ■
도덕적 행위가 아닌 것 = ▲
→ 즉, [C'이면 A=■], [C이면 A=▲]가 됩니다.
그렇다면 동기의 차이에 따라 A의 도덕적 성격이 달라지므로, C에 따라 결과적으로 A는 서로 다른 행위가 됩니다."
라고 하셨는데, A를 "서로 다른 행위"라고 볼 수 없는 것 아닌지요.
말씀해주신 대로 A는 C와 C'에 따라 도덕적 행위인 A와 도덕적 행위가 아닌 A로 행위의 도덕적 성격에서만의 차이가 생길 뿐 A를 서로 다른 행위라고 말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니면 도덕적 성격 차이에 따라 그 측면에서의 다른 행위라고 표현하신지도 모르겠습니다. 다만, 이어지는 설명에 따르면 C의 변화 여부와 무관하게 A는 동일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하셨는데, 칸트가 C를 바탕으로 A의 도덕적 성격을 판단하는 것이기에 A라는 행위(예를 들어주신 것처럼 손님을 속이지 않는 행위) 자체는 동일하게 유지되니까 이것을 모순점이라고 할 수 없는 것 아니냐는 질문입니다. A라는 행위의 도덕적 성격을 판단하는 것이지 A가 C와 C'에 따라 손님을 속이지 않는 행위에서 손님을 속이려다가 마는 행위와 같이 행위 자체가 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첨부해주신 파일을 통해 원본 문제를 확인했습니다. 해당 선지에서는 "칸트는 벤담과 달리 '결과보다' 행위 자체의 도덕성에 주목한다."라고 서술되어 있어 보다 확실하게 해당 선지가 맞다고 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 그리고 또 하나의 질문이 있다면, 해당 맥락에 따르면 A와 B는 서로 분리된 독립 항목인 것인지요. A라는 행위에 따라 B가 결정되는 것이니까 A가 달라지면 B도 달라지니 서로 분리되지 않은 것 같은데, 그렇다면 벤담도 A의 차이에 따라 B가 달라진다고 보고,
A와 B는 분리되지 않은 관계라는 결론이 나오는 것일까요? 이렇게 보면 A 안에 B 역시 포함되어 벤담도 A에 주목하는 것이 되어서요. 아니면 벤담과 같은 공리주의자는 B에 따라, 즉 B를 바탕으로 A의 도덕적 성격을 판단하니까 B안에 A가 포함되어 있다고 봐야 하나요?
자세하고 친절한 설명에 깊은 감사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C 자체가 A에 포함되어 있는 집합 관계라는 설명도 이해가 가고, 원본 선지와는 다르게 '결과보다'와 같은 비교 표현이 사라진 경우에서도 퀴즈 94번의 선지가 옳다고 받아들이려면 이것 역시 가능하다는 것도 이해가 갑니다. 다만, 깔끔하게 받아들여지는 느낌보다 위에 의문점을 남긴 것과 같이 어딘가 시원하게 해결되지 않아 다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마더텅
답변 내용이 학습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저희 마더텅 교재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