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를 이용하시려면로그인을 해주세요.
01 선사 문화의 전개와 초기 국가의 형성
02 중앙 집권 국가의 성립과 정복 전쟁의 전개
03 신라의 삼국 통일과 이후의 정치적 변화
01 고대의 천신 신앙과 외래 종교 및 사상의 수용
01 고려의 성립과 정치 변동
02 고려 전기의 대외 관계와 무신 집권기의 정치
03 원의 간섭과 고려 후기의 사회 변화
01 고려의 신분 제도와 사회 모습
02 고려의 종교와 사상
01 조선의 건국과 체제 정비
02 사림과 붕당 정치의 등장
03 조선의 대외 관계와 양 난의 발발
04 양 난 이후 세계관과 정치 운영의 변화
01 양반 중심의 신분 사회와 변화
02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01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과 흥선 대원군의 개혁
02 통상 수교 거부 정책과 양요
01 개항과 불평등 조약의 체결
02 개화 정책의 추진과 반발
03 갑신정변과 이후의 정세
01 동학 농민 운동의 전개
02 갑오·을미개혁의 시행
03 독립 협회와 대한 제국
01 국권 피탈 과정
02 항일 의병 운동의 전개
03 애국 계몽 운동의 전개
01 개항 이후 경제적 침탈과 대응
01 근대 문물의 수용과 발달
01 무단 통치와 수탈 체제의 확립
02 민족 분열 통치와 경제 수탈의 확대
01 1910년대 국내외 민족 운동
02 3·1 운동의 전개
03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
01 무장 독립 전쟁의 전개와 의열 투쟁
02 실력 양성 운동의 전개
03 민족 유일당 운동과 학생 운동의 전개
01 일제 강점기의 문화와 민족 문화 수호 운동의 전개
02 다양한 사회 운동의 전개
01 제2차 세계 대전과 전시 동원 체제
01 1930년대의 무장 투쟁
02 독립을 위한 노력
01 냉전 체제의 전개와 8·15 광복
02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노력
01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제헌 국회의 활동
01 6·25 전쟁의 전개
02 전후 남북한의 정치와 경제
01 4·19 혁명과 장면 내각의 수립
02 5·16 군사 정변과 박정희 정부
01 신군부의 등장과 민주화 운동
02 직선제 개헌 이후의 정부
01 고도의 경제 성장과 위기
02 1980년대 이후 경제 변화
03 산업화로 인한 사회와 대중의식의 변화
01 북한 사회의 변화
02 남북 화해와 협력
03 갈등과 대립의 동아시아, 화해를 위한 노력
2022학년도 수능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