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만책 (수능기출) > 국어영역 > 국어영역(수능)] 2023 수능대비 마더텅 수능기출문제집 국어 독서
안녕하세요, 민서 님.
<2023 수능대비 마더텅 수능기출문제집 국어 독서> 교재에 대해 문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1. 입력 영상에서 A 부분이 A0 ~ A3으로 확대가 되지요.
A0 ~ A3의 밝기는 같습니다.
이때 모자이크 효과는 A만 보는 것이 아닙니다.
A와 B, C, D를 보셔야 해요.
A만 보면 같은 밝기이므로 당연히 명암 대비가 없지요.
그런데 A와 B~D를 보면 A에 밝기 차이가 없어서, A와 나머지 부분들이 뚜렷하게 구별이 되어 버립니다.
만약 A 부분이 화솟값이 가장 어두운 255이고, B는 200쯤 되는 회색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가상 영상에서는 A0는 255이고, A1 ~ A3은 230쯤 되어야 자연스럽게 B랑 이어지겠지요?
그런데 A0 ~ A3 모두 화솟값이 255이면 200인 B와의 차이가 커져 버립니다.
이때문에 명암대비가 선명해지고 모자이크 효과가 나타나게 됩니다.
2. 위에 설명드린 대로 확대 복사 방법은 명암 대비가 큽니다. 따라서 지문에 따르자면 더 선명합니다.
선형 보간법은 확대 복사 방법에 비해 명암 대비가 약해집니다. 따라서 지문에 따르자면 덜 설명합니다.
저희 교재에 보내 주신 관심에 깊은 감사를 드리며, 앞으로도 저희 마더텅 교재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