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만책 (수능기출) > 탐구영역 > 과학탐구영역(수능)] 2022 수능대비 마더텅 수능기출문제집 지구과학Ⅰ
35번 자료해설 B지역 부분이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북아메리카판과 카리브판 경계의 동쪽에 중발•심발 지진이 발링하는 것으로 어떻게 B에 보존형 경계가 발달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해당 그림에서 카리브 판 동쪽과 서쪽 지진 분포를 통해 판의 섭입 방향을 파악하고 판의 위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B에 보존형 경계가 발달했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해당 문제의 주어진 조건만으로 생각해보았을 때, B에 천발 지진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B에서 해구가 발달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ㄴ 보기가 틀렸음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카리브 판의 진앙 분포로 보아 카리브 판이 대체로 남북 방향보다는 동서 방향의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활발하므로 B에서 발산형 경계가 발달했다고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 참고할만한 자료 (2011학년도 6월 평가원 모의고사 지구과학1 11번 문제)
아래 문제의 그림을 살펴보면, 문의하신 문제의 B에 해당하는 위치에 보존형 경계가 발달한 것을 더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