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더텅

D-000

00:00:00

2025학년도 수능

2024년 11월 14일 (목)
6기 장학생 수기 모음

교재Q&A

  • Home
  • 고객센터
  • 교재Q&A

[까만책 (수능기출) > 탐구영역 > 사회탐구영역(수능)] 2021 수능대비 마더텅 수능기출문제집 한국사

  • 작성자 : 손연우
  • 등록일 : 2020.05.19
  • 쇄수 : 0
  • 페이지 : 321
  • 답변완료

개념확인하기 문제 10번 김재규가 박정희를 시해한 이라고 서술되어 있는데,

시해는 부모나 왕정국가에서 임금을 살해하였을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

가치 중립적으로 살해한 또는 박정희가 피살된 이라고 서술하는 것이 옳아 보입니다.

답변마더텅

  • 2020.05.22

안녕하세요, 손연우님.

마더텅 <2021 수능대비 마더텅 수능기출문제집 한국사>에 대해 답변드립니다.

 

문의주신 내용은 오류는 아니나, 2015 개정 한국사 교과서의 경우 '시해'보다는 '피살'이라는 표현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다음 개정 시 '시해'를 '피살'로 변경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해당 내용의 교과서 표현들을 함께 첨부해 보내드립니다.

 

금성: 박정희 대통령이 측근에 의해 피살되면서 유신 체제는 사실상 무너졌다(10·26 사태).  

동아: 박정희 대통령이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에게 살되면서 유신 체제는 막을 내렸다.  

미래엔: 대통령 박정희가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에게 피살됨으로써(10·26 사태·마 민주 항쟁(1979. 10.) 1979) 유신 체제는 사실상 붕괴되었다.  

비상: 이 사건의 처리 방법을 두고 정권 내부에서는 갈등이 벌어졌는데이 과정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의 총에 맞아 사망함으로써 유신 체제는 막을 내렸다(10·26 사태).  

천재: 이후 시위 진압 대책을 두고 정권 내부에서 대립이 발생하여 박정희 대통령이 피살되었다(10·26 사태).  

씨마스: 그러나 향후 정국 운영 방안을 둘러싸고 정권 내부에서 갈등이 일어나면서 박정희 대통령이 피살되었다(10·26 사태).  

해냄: 이 과정에서 중앙정보 부장 김재규가 쏜 총에 박정희 대통령이 피살되어 유신 독재 체제는 막을 내렸다 (10·26 사태, 1979).  

지학: 중앙정보부장 김재규가 박정희 대통령을 시해하면서 유신 체제는 막을 내리게 되었다 (10·26 사태).

 

 

오류는 아니지만 소중한 시간을 저희에게 사용해주심에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

작은 성의이지만 기프티콘을 보내드리고자 합니다.

기재해주신 핸드폰 번호로 일주일 내로 기프티콘이 발송될 예정입니다. 


앞으로도 저희 마더텅 교재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