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더텅

D-000

00:00:00

2025학년도 수능

2024년 11월 14일 (목)
6기 장학생 수기 모음

교재Q&A

  • Home
  • 고객센터
  • 교재Q&A

[고등 > 수능 > 영어] [2차 개정판] 고교영문법 3300제

  • 작성자 : 안주영
  • 등록일 : 2020.07.23
  • 쇄수 : 3
  • 페이지 : 211
  • 답변완료
2번문제에서 1번문장이 I am not sure whether she is Korean or not. 이잖아요. 근데 이때 be동사+형용사니까 위 문장은 2형식이고 whether부터는 명사절이니까 명사로 취급할 구 있으니, 주어+동사+주격보어+명사 형태로 되는건데 제가 잘못 이해한건가요? 이문장이 어떻게해서 몇형식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마더텅

  • 2020.07.24

안녕하세요.
저희 마더텅 교재와 함께 학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에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I am not sure whether she is Korean or not.

이 문장은 다른 2형식 문장과 달리 주어+동사+주격보어+명사절의 형식을 띄고 있기 때문에 형식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sure 다음 전치사 of가 생략되었기 때문입니다.

 

sure과 같은 보어가 목적어를 가질 수 있는 방법은 전치사와 함께 써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I'm not sure of that. 라는 문장에서,

I가 주어, am not이 동사, sure은 주격보어, of that은 부사구가 되므로 2형식 문장입니다.

그러나 해석상으로는 '그것을 확신할 수 없다'로, 3형식 문장처럼 해석됩니다. 

따라서 해석상 that이 sure의 목적어가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표면적으로 보이는 문법상의 문장성분과 해석상의 문장성분이 차이를 보이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때 sure, certain, aware과 같은 형용사 뒤에 오는 of는 관용적으로 생략이 가능하기 때문에 질문해주신 문장과 같은 구조가 나올 수 있습니다.

 

질문해주신 I am not sure whether she is Korean or not. 문장은

I가 주어, am not이 동사, sure이 주격보어인 2형식 문장이 맞습니다.

다만 sure의 해석상 목적어가 whether 명사절이므로 해석은 3형식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궁금해하신 부분이 위의 설명으로 해소되셨기를 바랍니다.
다시 한 번 저희 교재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더 효율적인 학습 교재로 보답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