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더텅

D-000

00:00:00

2025학년도 수능

2024년 11월 14일 (목)
6기 장학생 수기 모음

교재Q&A

  • Home
  • 고객센터
  • 교재Q&A

[까만책 (수능기출) > 국어영역 > 국어영역(수능)] 2022 수능대비 마더텅 수능기출문제집 국어 문법(언어)

  • 작성자 : 허재빈
  • 등록일 : 2021.08.14
  • 쇄수 : 1
  • 페이지 : 95
  • 답변완료

20번 문제 '제대로 된 계획 세우기'를 해설지에서는 [계획 세우기]가 제대로 되다.라는 문장이 안겨서 [제대로 된 계획]을 세우다.라고 했는데 저는 [계획이 제대로 되다.]라는 안긴 문장이 안은 문장에 안겨서 [제대로 된 계획]을 세우다.로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답변마더텅

  • 2021.08.18

안녕하세요, 허재빈 님.

 

<2022 수능대비 마더텅 수능기출문제집 국어 문법(언어)교재에 대해 문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죄송합니다만 질문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였습니다.

20번 ④번 선지에 대해 문의 주신 게 맞으신지요? 

④번 선지의 풀이에 '[계획 세우기]가 제대로 되(다)'가 '계획이 제대로 되(다)'로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걸까요?

만약 이것이 맞다면, ㉣이 서술어인 문장은 '계획 세우기가 제대로 되(다)'가 맞습니다.

 

참고가 되시라고 ebs의 해설을 첨부합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이 서술어인 문장을 '계획이 제대로 되(다)'로 본다면, 해당 문장에는 절이 없습니다.

따라서 겹문장으로 가정하여 문제를 풀 수 없습니다.

또한 '계획 세우기'가 명사절이기 때문에 하나로 묶어 생각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⑤번 선지의 해설 때문에 헷갈리시는 것이 아닌가 싶은데요.

관형절 '제대로 된'이 꾸미는 것은 명사 '계획'이 아니라 명사절 '계획 세우기'입니다.

(명사절도 명사의 역할을 하므로 관형어의 꾸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엄밀히 따지면 ⑤번 선지에서 주어는 '계획 세우기가'입니다만,

일반적으로 체언이 관형어의 꾸밈을 받는 경우 관형어를 포함하여 문장 성분을 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 학교는 진짜 멀다'라는 문장에서 '우리'는 '학교'를 꾸미는 관형어이고 '학교는'이 주어이지만,

해당 문장의 주어가 '우리 학교는'이라고 말해도 틀린 것은 아닙니다.

 

다만, 정확성을 기해야 하는 문제집의 특성상 좀더 명확하게 제시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여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다음 개정판에 좀더 명확히 해설하겠습니다.

 

저희 교재에 보내 주신 관심에 깊은 감사를 드리며,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