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더텅

D-000

00:00:00

2025학년도 수능

2024년 11월 14일 (목)
6기 장학생 수기 모음

교재Q&A

  • Home
  • 고객센터
  • 교재Q&A

[까만책 (수능기출) > 탐구영역 > 사회탐구영역(수능)] 2020 수능대비 마더텅 수능기출문제집 생활과 윤리

  • 작성자 : 김윤지
  • 등록일 : 2019.08.21
  • 쇄수 : 0
  • 페이지 : 14
  • 답변완료
제가 저번 질문에서 이론 규범 윤리학과 실천 규범 윤리학의 차이점을 묻는 문제가 나오지 않냐?라고 질문드렸었는데 40번 문제에 나왔네요...! 그럼 이론규범 윤리학과 실천규범 윤리학의 이론을 통합한 '당위적 진술이다'나 '보편적 원리를 탐구해서 실생활에 적용'과 같은 말이 나오면 규범 윤리학이라고 보지만 이 문제와 같이 규범윤리학 중에서 '도덕적 원리 탐구 '에 중점을 두는 내용이 나오면 '이론규범'이고, '그것을 실샹활에 적용해서 해결하는 것'에 중점을 두면 '실천규범'이다. 이렇게 판단하면 될까요?? 그런데 40번 문제가 이론규범과 실천규범의 차이점에 대해 나온 문제라는 것을 모르고 딱 봤을 때 (가)의 주장은 어찌보면 '규범 윤리학'이라고 볼 수 있는 것 아닌지요...?ㅜㅜㅜ 실천규범도 (가)의 주장처럼 이를 중요시 여기니까요...! 여전히 헷갈리네욥,,ㅜㅜ 감사합니다! 마더텅 최고♡

답변마더텅

  • 2019.08.22

안녕하세요. 김윤지 님.

마더텅 <2020 수능대비 마더텅 수능기출문제집 생활과 윤리> 교재에 대해 질문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덕적 언어에 관심을 두는 메타 윤리학이나 관습 또는 사회 규범에 대해 객관적으로 기술하는 것에 관심을 두는 기술 윤리학과 달리, 규범 윤리학은 도덕규범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윤리학입니다. 그리고 그 규범 윤리학에는 이론 규범 윤리학과 실천 규범 윤리학이 있습니다. (즉, 이론 규범 윤리학&실천 규범 윤리학 ⊂ 규범 윤리학)
 
이론 규범 윤리와 실천 규범 윤리보다 규범 윤리가 더 큰 범주이므로, 이론 규범 윤리학이나 실천 규범 윤리학의 특징을 보고 규범 윤리학이라고 지칭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포메라니안을 가리켜 포메라니안, 강아지, 동물 어떤 단어를 써도 맞는 것처럼 말입니다. ^^)

 

이론 규범 윤리학과 실천 규범 윤리학의 공통점은 도덕규범에 관심을 둔다는 정도로 이해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차이점은 저희 교재 4쪽을 보시면 이론 규범 윤리학과 실천 규범 윤리학의 특징이 상세하게 설명이 되어있으니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도덕 원리 탐구=이론 규범 윤리', '실생활에 적용=실천 규범 윤리'로 생각하셔도 되오나, 모든 문제를 키워드만으로 푸는 것은 함정에 걸리기 쉽기 때문에, 제시문과 선지를 꼼꼼히 읽어 내용을 파악하시는 데에 중점을 두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① p.13 34번
'보편적인 도덕 원리 탐구(이론 규범 윤리학)'와 '실제 삶의 다양한 윤리 문제 해결하는 데에 중점(실천 규범 윤리학)'이라는 키워드가 나왔으므로, 두 윤리학을 포함하는 단어인 규범 윤리학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② p.14 39번
규범 윤리학이 이론 규범 윤리학보다 더 큰 범주의 단어이므로, 이론 규범 윤리학의 특징을 보고 규범 윤리학이라고 지칭할 수 있습니다.

 

③ p.12 29번
'도덕적 규범이나 원칙을 탐구(이론 규범 윤리학)'와 '구체적인 삶의 문제에 적용(실천 규범 윤리학)'이라는 키워드가 나왔으므로, 두 윤리학을 포함하는 단어인 규범 윤리학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해당 문제에서 '나'를 실천 규범 윤리학자로 두고 문제를 풀어도 해당 문제를 푸는 데에는 지장이 없으나, 더 정확한 설명을 위해 '나'에 달린 첨삭을 [응용 윤리학>규범 윤리학]으로 수정하였으며, 해당 내용은 정오표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정오표는 마더텅 홈페이지(www.toptutor.co.kr)에서 해당 교재의 <교재자료실>을 이용 바랍니다.

 

④ p.14 40번
(가)와 (나) 모두 규범 윤리학이라고 지칭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문제는 이론 규범 윤리학과 실천 규범 윤리학을 구분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구분을 해주어야 합니다.
(가)에서는 '윤리학은 ... 올바른 판단과 행위의 근거인 보편적 도덕 원리를 정립해야 한다.'라고 언급하고 있다는 점과 (나)의 내용이 실천 규범 윤리학이므로 (가)를 (나)에 등장하는 실천규범윤리학을 포함하는 단어인 규범 윤리학으로 두면 문제를 푸는 데에 지장이 있다는 점, 이 두 가지 단서를 통해 (가)를 이론 규범 윤리학으로 판단하고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저희 마더텅에 보내주신 관심에 감사 드립니다.
앞으로도 큰 관심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