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더텅

D-000

00:00:00

2025학년도 수능

2024년 11월 14일 (목)
6기 장학생 수기 모음

교재Q&A

  • Home
  • 고객센터
  • 교재Q&A

[까만책 (수능기출) > 국어영역 > 국어영역(수능)] 2023 수능대비 마더텅 수능기출문제집 국어 독서

  • 작성자 : 민서
  • 등록일 : 2022.10.02
  • 쇄수 : 229
  • 페이지 : 229
  • 답변완료
먼저 확대 복사 방법을 반대로 이해하셨습니다. 모자이크 효과는 명암대비가 커 윤곽선 부분의 모양이 두드러져 보이는 것입니다. 지문의 <그림>에서 A의 화솟값을 0, B의 값을 255라고 할 때 입력 영상에서는 화솟값이 0인 지점(A)과 255인 지점(B)의 면적이 적지만, 가상 영상에서는 화솟값이 0인 지점(A0 ~ A3)과 255인 지점(B0 ~ B3)의 면적이 넓습니다. 따라서 명암대비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재질문1. 설명해주신건 가상영상에서 A와B의 면적이 넓어지므로 명암대비가 뚜렷하다고 이해했습니다! 근데 ‘A0~A3모두 같은 밝기로 표시되므로 윤곽선 부부의 격자모양이 두드러져보이는 모자이크효과’ 즉 A와 B의 면적비교가 아니라 A0~A3에서의 밝기를 비교하고 있는데, 이점을 어떻게 이해해야할지 모르겠어요. 그리고 화소들 사이의 밝기차이를 명암대비라고 하는데, A0~A3은 모두 같은 밝기(밝기차이가x) 니까 명암대비가 없는거 아닌가요?? 이를 보완한 것이 선형 보간법으로, 선형 보간법은 확대 복사 방법에 비해 명암대비가 약해져서 모자이크 효과가 감소합니다. 지문에서 선명도에 대한 이야기는 나와 있지 않으므로, 선명도는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재질문2 본문 첫번째 문단에 ‘명암대비가 강할수록 선명하게 영상은 선명하게 보인다’ 부분이 있는데 확대복사방법은 모두 같은밝기(명암대비가 x) 니까 선명하지 않게 보인다. 선형보간법은 명암대비가 있긴있지만,약해져서 영상이 덜 선명하게 보인다고 이해하면 안될까요??

답변마더텅

  • 2022.10.14

안녕하세요, 민서 님.

 

<2023 수능대비 마더텅 수능기출문제집 국어 독서교재에 대해 문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1. 입력 영상에서 A 부분이 A0 ~ A3으로 확대가 되지요.

A0 ~ A3의 밝기는 같습니다.

이때 모자이크 효과는 A만 보는 것이 아닙니다.

A와 B, C, D를 보셔야 해요.

A만 보면 같은 밝기이므로 당연히 명암 대비가 없지요.

그런데 A와 B~D를 보면 A에 밝기 차이가 없어서, A와 나머지 부분들이 뚜렷하게 구별이 되어 버립니다.

만약 A 부분이 화솟값이 가장 어두운 255이고, B는 200쯤 되는 회색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가상 영상에서는 A0는 255이고, A1 ~ A3은 230쯤 되어야 자연스럽게 B랑 이어지겠지요?

그런데 A0 ~ A3 모두 화솟값이 255이면 200인 B와의 차이가 커져 버립니다.

이때문에 명암대비가 선명해지고 모자이크 효과가 나타나게 됩니다.


2. 위에 설명드린 대로 확대 복사 방법은 명암 대비가 큽니다. 따라서 지문에 따르자면 더 선명합니다.

선형 보간법은 확대 복사 방법에 비해 명암 대비가 약해집니다. 따라서 지문에 따르자면 덜 설명합니다.

 

저희 교재에 보내 주신 관심에 깊은 감사를 드리며, 앞으로도 저희 마더텅 교재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 
[마더텅 고객센터 만족도 조사 참여 안내]

안녕하세요. 마더텅 출판사입니다.

고객센터를 이용해 주신 고객분들을 대상으로 고객센터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조사 응답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고객님의 소중한 의견은 저희 마더텅 출판사 고객센터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자료로만 활용됩니다.

앞으로 더 좋은 교재와 교육서비스로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마더텅 출판사 올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