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더텅

D-000

00:00:00

2025학년도 수능

2024년 11월 14일 (목)
6기 장학생 수기 모음

교재Q&A

  • Home
  • 고객센터
  • 교재Q&A

[빨간책 (모의고사) > 탐구영역 > 사회탐구영역(수능)] 2023 수능대비 마더텅 수능기출 모의고사 35회 사회·문화

  • 작성자 : 김예경
  • 등록일 : 2022.10.12
  • 쇄수 : 20
  • 페이지 : 90
  • 답변완료
10번 문제 문의드립니다. <ㄱ. 상대적 빈곤가구보다 절대적 빈곤 가구가 많다.> 라는 문항에서 문제에 나와있는 ‘ 빈곤 가구 중 맞춤형 급여를 지원받는 비율’은 각각 절대적 빈곤가구 중 또는 상대적 빈곤 가구 중에서의 비율이기 때문에 파악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절대적 빈곤가구 수와 상대적 빈곤가구 수의 비율이 같다면 상대적 빈곤 가구 수가 더 많겠지만, 절대적 빈곤가구 수와 상대적 빈곤 가구 수의 비율이 나와있지 않기 때문에 어떤 가구의 수가 더 많은지에 대한 여부를 파악할 수 없지 않나요?

답변마더텅

  • 2022.10.12

안녕하세요 김예경님

<2023 수능대비 마더텅 수능기출문제집 사회문화교재에 대해 문의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예경님이 질문해 주신 대로 절대적 빈곤 가구수와 상대적 빈곤 가구수의 비율이 같다면, 상대적 빈곤 가구가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빈곤 가구 중 맞춤형 급여를 지원받는 비율>표를 보시면 '교육'급여 지원 부분이 그러합니다.

그렇다면 나머지 '생계', '의료', '주거'급여 지원 부분을 살펴보면, 각 맞춤형 급여의 기준(중위 소득 기준)은 같지만 말했듯이 빈곤 가구 중 급여를 지원받는 가구의 비율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생계'급여 지원 부분을 예로 들자면, 표에서 절대적 빈곤 가구의 70%가 생계 급여를 받고 있으며, 상대적 빈곤 가구는 56%만 생계 급여를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똑같은 기준인데 절대적 빈곤 가구는 상대적 빈곤 가구보다 더 많은 가구가 생계 급여를 받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 빈곤 가구가 절대적 빈곤 가구보다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의료' 급여와 '주거' 급여도 '생계' 급여와 결과가 같습니다. 


따라서 해당 내용은 오류가 아닙니다.

 

답변 내용이 학습에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앞으로도 저희 마더텅 교재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마더텅 고객센터 만족도 조사 참여 안내]

안녕하세요. 마더텅 출판사입니다.

고객센터를 이용해 주신 고객분들을 대상으로 고객센터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조사 응답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고객님의 소중한 의견은 저희 마더텅 출판사 고객센터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자료로만 활용됩니다.

앞으로 더 좋은 교재와 교육서비스로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마더텅 출판사 올림.

============================================================================